용어

구제금융(relief loan) 정의와 필요성

떠오르는 별 2023. 9. 16. 19:41
728x90
반응형

◇ 한국은행에서 정의한 구제금융에 대하여 적어보았다.

 

어떤 기업이 도산할 경우 국민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여 금융기관은 해당 기업에 도산방지를 위하여 정책적으로 자금을 지원해 주는데 이를 구제금융(relief loan)이라 부른다. 구제금융은 신규 자금융자이외에 기 대출금의 상환 시기 조정 등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도산위기 기업에 회생기회를 부여하게 된다. 구제금융 이후 기업이 정상화되지 못하고, 구제금융자금 회수가 어려워지면 대출금융기관 역시 자금난을 겪고 부실해질 수 있다. 금융기관 및 기업이 총체적으로 부실해져 국가적 위기가 닥칠 경우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요청을 하게 되는데 이를 ‘IMF 구제금융’이라 부른다. IMF 구제금융은 일반적으로 조건이 까다롭고 국가적 구조조정 및 개혁이 전제되어야 한다.


 구제금융의 정의가 필요할까?

 

중국의 힘이 커져서 IMF가 감당을 못할 지경이면 이런 용어가 필요가 없을 듯하다.

 

중국이 도산할 것 같은 기업에 대해 자금을 빌려주고 IMF구제금융을 안당하게 해줄만큼 환경을 만들어주고 기업이 운영이 잘 되도록 뒷받침해주며 원하는 경제적인 부를 중국이 얻고 아울러 정책적인 힘을 발휘하여 FTA로 무역협약을 맺어 그 나라의 국력을 떨어뜨리게 할 수 있다.

 

단기간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그 기업을 중국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사용하다가 모든 기술과 자본이 중국이 다 가져가면 그때는 기업은 좀비가 되어 살아남겠지만 판단을 못하고 중국이 시키는 것만 해야 될 수도 있다.

 

중국의 간섭이 심해지면 그 기업은 노예나 다름없을 뿐만 아니라 기업의 구성원이 중국인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왜냐하면 한국은 저출산이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고 인재들을 구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중국이 계속 구제금융 당할 만한 기업에 자본을 투자하기 때문에 이런 구제금융이란 단어가 필요가 없을 수도 있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조작국  (0) 2023.09.26
국제금융기구란?  (0) 2023.09.20
사모펀드란 무엇인가?  (0) 2023.09.10
가동률  (0) 2023.04.15
가교은행  (0) 2023.04.15